한국 경제의 구조변화와 산업별 전망
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국 경제의 구조변화와 산업별 전망

by 인사이트맨 2023. 5. 29.

이 글은 한국 경제의 구조변화와 그에 따른 산업별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세계 경제가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한국 경제는 어떤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목차

 

1. 한국 경제의 구조변화

한국 경제는 최근 몇 가지 중요한 구조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변화는 코로나19 위기와 관련된 것도 있지만, 그 이전부터 진행되던 것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인구구조, 교역구조, 소비구조, 산업구조 등의 변화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1 인구구조의 변화

한국은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각한 나라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출산율은 0.84명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에 랭크되었으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6%로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했습니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경제성장률을 낮추고 재정부담을 높이는 등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2 교역구조의 변화

한국은 수출과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교역의존도가 높은 나라입니다. 2019년 기준으로 교역의존도는 75.9%로 세계에서 7번째로 높았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교역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내수가 위축되면서 수출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고, 2021년에는 반도체 등 수출주력품목의 호황과 세계경제 회복세로 수출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교역의존도는 2020년에 76.5%, 2021년에는 76.9%로 상승했습니다. 한편, 수출구조는 ICT 산업(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 정보통신업)이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3 소비구조의 변화

한국의 소비구조는 최근 몇 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 첫째, 서비스소비가 물질소비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득 수준의 상승과 가계부채의 확대 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둘째, 비대면소비와 온라인소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실시되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셋째, 개인화와 다양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취향과 성향을 반영하는 맞춤형 소비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4 산업구조의 변화

한국의 산업구조는 최근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 등의 트렌드에 따라 변화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ICT 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통해 산업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과정입니다. 그린 전환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에너지와 기술을 도입하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과정입니다.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은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ICT 산업뿐 아니라 제조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과 창출을 가능하게 하며, 그린 전환은 재생에너지, 수소경제, 전기차 등 신산업 분야에서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은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도전도 가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일자리 감소와 양극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그린 전환은 탄소발생산업의 위축과 비용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산업별 전망

앞서 살펴본 구조변화에 따라 한국 경제의 각 산업별로 어떤 전망이 기대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1 제조업

제조업은 한국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업입니다. 제조업은 GDP에서 약 27% 정도를 차지하며, 수출에서 약 90% 정도를 차지합니다. 제조업은 ICT 산업과 비 ICT 산업으로 나눌 수 있는데, ICT 산업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을, 비 ICT 산업은 그 외의 제조업을 의미합니다.

 

ICT 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에 필수적인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의 주요 제품은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등의 신기술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ICT 산업의 전망은 긍정적이나, 기술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중국 등의 신흥국의 도전이 강해지고 있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이 필요합니다.

 

비ICT 산업은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등의 전통적인 제조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비 ICT 산업은 ICT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과 수출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고 공급망이 끊어지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비ICT비 ICT 산업의 전망은 부정적이나, ICT 기술과 융합하여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카, 바이오 등의 신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비 ICT 산업은 ICT 기술의 활용도를 높이고, 그린 전환에 맞추어 친환경적인 제품과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2 서비스업

서비스업은 한국 경제에서 가장 큰 부문을 차지하는 산업입니다. 서비스업은 GDP에서 약 60% 정도를 차지하며, 고용에서 약 70% 정도를 차지합니다. 서비스업은 ICT 서비스업과 비 ICT 서비스업으로 나눌 수 있는데, ICT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을, 비 ICT 서비스업은 그 외의 서비스업을 의미합니다.

 

ICT 서비스업은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에 필수적인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쇼핑몰, 온라인게임, 온라인금융 등의 주요 서비스는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등의 신기술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ICT 서비스업의 전망은 긍정적이나, 기술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중국 등의 신흥국의 도전이 강해지고 있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이 필요합니다.

 

비ICT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등의 다양한 서비스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비 ICT 서비스업은 ICT 서비스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과 수출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고 영업활동이 제한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비ICT 서비스업의 전망은 부정적이나, ICT 기술과 융합하여 온라인서비스, 플랫폼서비스, 맞춤형 서비스 등의 신서비스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비 ICT 서비스업은 ICT 기술의 활용도를 높이고, 그린 전환에 맞추어 친환경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대응전략과 정책방향

앞서 살펴본 구조변화와 산업별 전망에 따라 한국 경제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대응전략과 정책방향에 대해 제안해보겠습니다.

 

 

3.1 대응전략

한국 경제는 구조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혁신성장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전략이 필요합니다.

  • ICT 기술력 강화: ICT 기술은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ICT 기술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ICT 원천기술과 신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혁신을 지원하고 ICT 인재양성과 육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 ICT 융합활성화: ICT 기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ICT 기술과 다른 산업분야와의 융합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융합산업 분야별로 맞춤형 정책과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융합산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 그린 전환주도: 그린 전환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이므로 그린 전환주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친환경 에너지와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혁신을 지원하고 그린산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 사회문제 해결: 구조변화와 혁신성장에 따른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완화를 위한 정책과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사회안전망을 강화해야 합니다.

3.2 정책방향

한국 경제의 그린 전환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린 전환 정책은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고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을 추구하는 정책입니다. 한국은 2020년 10월 28일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그린 전환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습니다.

 

 

 

탄소중립이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나 제거를 통해 실질적인 배출량이 0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그린 전환 정책은 한국판 뉴딜의 중요한 축으로서 그린 뉴딜로 구체화되었습니다. 그린 뉴딜은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등 3대 분야와 8개 추진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총 42조 7000억 원의 국비를 투입할 계획입니다.

 

그린 전환 정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공공시설을 제로에너지화하고, 국토·해양·도시의 녹색 생태계를 회복하며,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를 구축합니다.
  •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에너지관리 효율화를 위한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하고,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을 구축하며,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보빌리티 보급을 확대합니다.
  •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녹색 선도 유망기업을 육성하고, 저탄소·녹색산단을 조성하며, R&D·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을 조성합니다.

그린 전환 정책은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고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안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또한 국제사회에서 기후변화 대응의 선도국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방안으로서 필요합니다. 한국은 그린 전환 정책을 통해 디지털 전환과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혁신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댓글